본문 바로가기

낚시 연구소

제주도민이 얘기하는 무늬오징어(미쓰이까) 생미끼 찌낚 채비

무늬 오징어 낚시에서는 에깅으로 하는방법을 많이들 사용하시는데요

간편하기에는 에기를 사용하여 하는방법이 좋기는

하지만 무늬오징어 대물을 잡으시려면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낚시법이 생미끼 채비입니다.

대물들은 앵간해서는 잘안물거든요 생미끼에 입질이 아주 좋습니다.

 

우선 흔희 많이들 사용하시는 삼봉을 소개 합니다.

왼쪽에서 첫번째 삼봉은 주로 죽은 전갱이를 모양 살려 단단하게 고정할때 사용합니다.

두번째는 한치용으로 적합합니다

(전갱이를 세로로 끼워서 사용, 철사로 머리와 꼬리부분을 묶어도 좋습니다.)

세번째와 네번째는 살아있는 생미끼를 사용할 때 씁니다.

세번째는 입질시 바늘걸림에는 유리하나 랜딩도중 빠져버릴 우려가 있으며

네번째는 일단 바늘걸림만 제대로 되면 미늘이 있어서 거의 빠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는 위의 바늘을 선호합니다.

무게가 가벼워서 가끔씩 전갱이 미끼위로 바늘이 올라타는 현상이 있어서 

바늘중간에 1호 봉돌을 끼워서 사용합니다.

 

첫째찌는 주로 주간에 사용하구요

나머지는 흔한 막대찌 형태들입니다.

취향에 따라서 캐미찌와 전자찌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요즘 거의 세번째 씁니다(부력 5호)

이 부력은 수심에따라서 사용하는게 좋은데요 깊은곳에서는

5호정도 쓰시면 좋고 조금얕은곳에서는 3호정도

쓰시면 좋습니다.

 

채비를 만들어 봅시다 ㅋ

먼저 생미끼를 고정시킬 바늘을 묶습니다.

일반 바늘 묶는법과 같습니다.

다만 밑줄을 조금 길게 남겨두시면 됩니다.

 

남겨진 밑줄에 선택한 채비를 단단하게 묶어주면 되지요

걸림 바늘과 밑채비의 간격 5~6cm정도

 

짜잔~ 완성된 채비의 모양입니다.

5호찌를 쓸경우 봉돌은 3호 쓰시면 됩니다. 

위의 2,3번 바늘을 쓸경우 바늘 무게로만 -2호 정도의 부력을 

감안하셔야 합니다.

찌만 가벼우면 1호대로 충분히 가능하지만 생미끼의 무게가 있다보니

2호대 이상의 낚시대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