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낚시 연구소

제로찌, 투제로찌 낚시란

'제주바다낚시나 남해에서 많이 사용하는 전유동 찌입니다.

2B-B-0-00-000 순서로 부력이 낮아지며 일반적으로 0찌는 낚싯바늘과 좁쌀 봉돌을 달아도 

가라앉지 않고 수면에 떠있게 됩니다.

바다에서 00 찌 같은 경우에는 캐스팅 후 줄 안정화가 되면 서서히 찌가 원줄과 같이 물밑으로 내려가게 됩니다.

제로 찌 제로 찌를 만든 취지부터 생각해보면, 첫 번째가 고기가 미끼를 불었를때, 미끼와 바늘을 같이 잡아 당기게 되는데 그때 이물감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나온 것입니다.

한마디로 불량식품을 이쁘게 포장해서 좋은 물건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지요.

중요한 건 찌 무게가 이물감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찌 매듭이 없어서 원줄이 찌를 같이 당기지 않아서 이물감을 줄이게 되는 것입니다.

매듭이 있다면 고기는 찌를 같이 당기게 돼서 저항을 느 끼게 됩니다.

두 번째는 미끼가 밑밥의 크릴과 같이 천천히 내려가서 동조를 쉽게 한다는 것입니다.

 

그럼 제로의 개념부터 알아보면 쉽게를 말해서 아무것도 달지 않은 찌 자체만으로 민물은 가라앉고, 바닷물에서는 뜨는 찌가 00입니다.

제로 찌는 목줄과 바늘 무게를 더했을 때 00의 효과를 가지게 됩니다. 제 기억으로는 목줄 5미터, 벵에돔 바늘 6호 의 무게가 필요합니다. 바늘을 8호로 한다면 000 찌가 되겠죠. 바늘이 커지거나 목줄이 두꺼워지면 천천히 가라앉는다는 것입니다. 문제는 위에 적은 것들은 이론일 뿐입니다.

바다 상황이 조류가 좀 더 있거나 너울이 밀게 되면, 가라앉지 않습니다. 제로 찌가 내가 생각한 것처럼 되는 포인트는 별로 없습니다. 우도가 가장 적당하죠. 큰 동산, 작은 동산, 주간명월 절터 등등. 검 벌레 같은 조류가 있는 곳은 안 통합니다.

 

제로 찌 전유동 많은 사람들이 제로찌 전유동에 대해 잘못 알고 있습니다.

내 미끼가 찌 매듭이 없으니 수심 10 미터 넘게도 탐색을 할 것이다?

이렇게 생각한다면 고기 구경하기 힘들어집니다.

가끔 보면 줄이 잘 내려가라고 원줄을 열심히 풀어주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원줄이 조류에 밀리고, 바람에 밀려 큰 원을 그리며 바다 위에 늘어져 있게 됩니다.

그럼 입질은 어떻게 보는지 궁금합니다. 벵에돔 낚시에서 가장 중요한 건은 채비도 아니고, 밑밥도 아니고, 바로 견제입니다. 견제가 잘되어야만 벵에돔이 시원한 입질을 보여줍니다.

견제, 이거 참 힘든 거죠. 견제는 바꾸어 말해서 원줄을 긴장시키는 것입니다.

찌와 내 초릿대가 일직선이면 원줄도 일직선에 가깝게 만들려고 노력하세요. 원줄이 밀려서 반원을 그리면, 줄넘기에 줄 돌리듯이 반대편으로 넘기면 다시 돌아오겠죠. 그 행동을 반복합니다.

천천히 하면 원을 크게 그려야 하지만 자주 하면 작게 돌려도 직선을 유지하기 편하죠. 직선을 만들려고 할 때 채비가 당겨지면서 미끼가 떴다가 가라앉자다가 하면서 고기를 유인하게 됩니다.

줄넘기를 시도할 때 "파파박" 하고 원줄을 당기는 입질을 받게 되기도 합니다. 양치기들이 양들을 몰고 갈 때 무리 지은 것은 신경을 안서도 삐져나오는 양들은 먼저 때려서 도망 못 가게 하죠. 나의 미끼가 이리저리 삐죽거리면 고기가 금방 혼을 내줍니다.

제로 찌 전유동은 무늬만 전유동입니다.

목줄 수심에서 낚시를 한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그래서 목줄을 길게 주는 이유가 거기 있습니다.

벵에돔 낚시는 수면서부터 시작이 됩니다.

4짜 벵에돔도 수심 50cm 에서 올라오기도 합니다. 반드시 밑밥으로 고기를 띄워야 합니다.

고기가 수면으로 안 뜨고 깊은 수심에 있다면? 벵에돔이 예를 들어 수심 8m 층에 있다면 제가 말한 방법으로 하면 평생 못 낚겠죠.

견제를 해버리면 미끼가 떠버려서 5m 이하로는 안 내려가는데??? 그럼 찌를 같이 내립니다.

가장 좋은 것은 00나 000 찌로 채비와 찌가 자연스럽게 내리는 게 좋지만, 채비 바꾸고, 찌도 새로 사야 하고 머리 아프죠.

편하게 찌멈춤 고무 밑에 조 개봉을 다세요, 생각보다 좀 더 무거운 거로 달아야 합니다.

그래야 견제 동작에 덜 올라옵니다. 찌가 가라앉아서 안 보여도 견제를 하고 있으면 원줄이 시원하게 나가는 입질이 옵니다.

조개봉을 다는 위치는 찌 바로 밑에 다는 게 우선이지만, 가끔은 바늘 바로 위에 달았를대가 효과가 있습니다.